가산세, 추징금, 실전 사례까지 정리!

부모님께 집을 증여받거나, 자녀에게 목돈을 보내주었을 때
많은 사람들이 한 번쯤 고민하는 것,
“증여세 신고 꼭 해야 하나요?”라는 질문입니다.

단순히 세금만 내는 문제가 아니라,
신고 여부에 따라 가산세가 붙고,
언제 신고했느냐에 따라 추징 금액도 수백만 원 차이
가 날 수 있어요.

오늘은 실제 사례 중심으로
증여세를 신고 안 했을 때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,
신고는 했지만 납부를 안 하면 어떻게 되는지도
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

증여세 신고, “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”

국세청은 해마다 부동산·예금·주식 등 고액 증여 거래를 정밀 분석해서
의심 거래가 있으면 직접 세무조사에 들어갑니다.

그런데 이때 ‘신고 안 한 것’이 걸리면
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어요:

1. 무신고 가산세

증여세를 기한 내에 신고하지 않으면,
기본적으로 세액의 20%
무신고 가산세로 추가 납부해야 해요.

예를 들어,
증여세가 1,000만 원인데 신고를 안 했다?
👉 200만 원 가산세 붙습니다.

2. 납부 지연 시 이자까지 발생

신고도 안 했고, 납부도 안 했다면
‘납부불성실 가산세’도 붙습니다.
이는 1일 단위로 이자처럼 부과되고,
연 7% 수준이라 꽤 부담돼요.


증여세 신고 기한은 언제까지?

  • 증여 받은 날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가 원칙입니다.

예시)
3월 10일에 증여받았다면 → 6월 30일까지 신고

이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 + 지연이자의 콤보가 시작됩니다.


실전 사례: 신고 안 했다가 세무조사로 추징된 경우

30대 직장인 A씨는
부모님이 대신 전세금을 내준 걸 ‘그냥 고마운 마음’으로 넘겼습니다.
하지만 국세청은
부동산 계약서와 계좌이체 기록을 토대로 증여로 간주했고,
1,200만 원의 증여세 + 가산세 240만 원 + 이자 15만 원
→ 총 1,455만 원을 추징당했습니다.

신고만 제때 했더라면
이 중 20%인 가산세 240만 원은 안 내도 되는 돈이었습니다.


“신고는 했는데, 세금은 아직 못 냈어요” → 괜찮을까?

안타깝지만…
NO. 괜찮지 않습니다.

증여세는
신고와 납부가 모두 완료되어야 ‘완전한 의무 이행’으로 인정돼요.
신고만 하고 세금을 안 냈다면,
납부불성실 가산세는 똑같이 부과됩니다.

다만, 이 경우에는
‘무신고 가산세’는 면제되고,
연체 이자만 적용되니
납부는 가능한 빨리 하는 게 핵심입니다.


증여세 신고·납부 체크리스트

  •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 + 납부 완료
  • 홈택스에서 온라인 신고 가능
  • 신고만 하고 미납부 시 이자 발생
  • 신고도 미이행 → 20% 가산세 + 납부이자
  • 추후 적발되면 세무조사 리스크까지

마무리

많은 분들이
"증여세 신고는 안 해도 들키지만 않으면 괜찮다"
라고 생각하시지만,
요즘 국세청은 계좌, 계약서, 부동산 실거래가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있어요.

신고 안 하면 세금보다 가산세가 더 무서울 수 있습니다.

특히 증여세는 신고 자체만 해도 가산세를 아낄 수 있는 세금이기 때문에,
"일단 신고하고 보는 게 이득"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

반응형

+ Recent posts